맨위로가기

전라남도의 민속문화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라남도의 민속문화재는 전라남도 지역의 민속문화를 보여주는 유형 및 무형 문화재를 포괄한다. 가옥, 신상, 장승, 사당, 문서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일제강점기 및 한국전쟁 등 역사적 격변기 속에서도 전통을 지켜온 전라남도 지역의 민속 문화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주요 가옥으로는 영암 월곡리 전씨 고택, 담양 고재선 가옥, 장흥 죽헌 고택 등이 있으며, 사당으로는 담양 미암사당, 장흥 백수장 별묘 등이 있다. 장승 및 신상, 영정 및 제례, 공동체 문화를 보여주는 자료들도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일부 문화재는 중요민속문화재로 승격되거나 도난 등의 사유로 지정 해제되기도 한다. 전라남도 민속문화재는 문화재청, 전라남도청, 지역 사회의 협력을 통해 체계적으로 보존 및 관리되며, 교육 및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시도민속문화유산 - 부산광역시의 민속문화재
    부산광역시의 민속문화재는 부산 지역의 역사, 종교, 생활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1999년부터 총 19건이 지정되었으며 갑주, 군복, 불교 의식구, 민간 신앙 유적 등 다양한 유형의 문화재를 포함한다.
  • 대한민국의 시도민속문화유산 - 충청남도의 민속문화재
    충청남도의 민속문화재는 충청남도 내 민속적 가치를 지닌 유형 문화재로서, 고택, 유물, 어로 시설, 신당 등 역사, 생활상, 신앙을 보여주는 33건의 자료가 지정되어 있으며, 일부는 추가 조사 필요, 지정 해제, 또는 다른 문화재로 승격된 사례가 있다.
전라남도의 민속문화재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지정 정보
지정 번호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지정 종류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지정 지역전라남도
주요 문화재
주요 문화재강진 구강포 섶다리
강진 병영 홍교
고흥 고소리 성터
곡성 낙동마을 옛 담장
광양 마로산성
구례 운조루 고택
나주 영상테마파크
담양 명옥헌 원림
목포 외달도
무안 회산백련지
보성 강골마을
순천 낙안읍성
신안 증도
영광 법성포
영암 구림마을
완도 청산도
장성 필암서원
진도 신비의 바닷길
해남 고산 윤선도 유적
화순 운주사
관련 링크
문화재청문화재청
전라남도 문화관광전라남도 문화관광

2. 지정 목록

(단체)지정일참조1호김덕령장군관곽및수의
(金德齡將軍棺槨및壽衣)
전남 전남전역 북구 용봉동 시립민속박물관, 금곡동 충장사충장사, 시립민속박물관1975년 4월 24일 지정,
1980년 4월 1일 해제,
중요민속문화재 제111호로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010000,36]2호옥과성황당목조신상
(玉果城隍堂木造神像)전남 곡성군 옥과면 옥과리 154-4옥과향교1976년 9월 3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020000,36]3호영암월곡리전씨고택
(靈岩月谷里全氏古宅)전남 영암군 군서면 월곡리 554-1전채수1978년 9월 22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030000,36]4호영광연안김씨가
(靈光延安金氏家)
전남 영광군 군남면 동간리 166김석주1980년 6월 2일 지정,
1998년 1월 5일 해제,
중요민속문화재 제234호로 승격[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040000,36]5호담양고재선가옥
(潭陽高在宣家屋)전남 담양군 창평면 삼천리 366-1고재선1986년 2월 7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050000,36]6호장흥 죽헌 고택
(長興 竹軒 古宅)
장흥위성룡가옥
(長興魏聖龍家屋)
전남 장흥군 관산읍 방촌리 101 (방촌리)위성룡1986년 2월 7일 지정,
2017년 12월 21일 명칭변경[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060000,36],
[http://www.jeonnam.go.kr/J0204/boardView.do?seq=460&infoReturn=&menuId=jeonnam0204000000&displayHeader=&searchType=1&searchText=%EB%AC%B8%ED%99%94%EC%9E%AC&pageIndex=2&boardId=J0204&displayHeader=]7호장흥위성탁가옥
(長興魏聖卓家屋)
전남 장흥군 관산읍 방촌리 679위성탁1986년 2월 7일 지정,
2012년 4월 13일 해제,
중요민속문화재 제270호로 승격[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070000,36]8호해남정명식가옥
(海南鄭明植家屋)전남 해남군 황산면 우항리 291정명식1986년 2월 7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080000,36]9호나주홍기창가옥
(羅州洪起昌家屋)전남 나주시 다도면 풍산리 177홍기창1986년 2월 7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090000,36]10호나주홍기종가옥
(羅州洪起宗家屋)전남 나주시 다도면 덕동리 152홍기종1986년 2월 7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100000,36]11호나주김효병가옥
(羅州金孝炳家屋)전남 나주시 왕곡면 송죽리 226김효병1986년 2월 7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110000,36]12호무안정득수가옥
(務安丁得洙家屋)
전남 무안군 무안읍 성동리 874정득수1986년 2월 27일 지정,
1998년 10월 12일 해제,
해제사유 미상[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120000,36]13호무안박봉기가옥
(務安朴鳳基家屋)
전남 무안군 무안읍 매곡리 939박봉기1986년 2월 7일 지정,
2009년 4월 13일 해제,
해제사유 미상[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130000,36]14호영암현종식가옥
(靈岩玄宗植家屋)전남 영암군 학산면 학계리 117-3현희선1986년 2월 7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140000,36]15호보성이종선가옥
(寶城李鍾善家屋)전남 보성군 보성읍 옥암리 582김금용1986년 2월 7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150000,36]16호영암집영재
(靈岩集英齋)전남 영암군 학산면 은곡리 142-1영암군1986년 2월 7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160000,36]17호쌍계사지장승
(雙溪寺址長생)전남 영암군 금정면 남송리 18-2영암군1986년 2월 7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170000,36]18호영암죽정리국장승
(靈岩竹亭里國長생)전남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산114-4영암군1986년 2월 7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180000,36]19호영암소전머리황장승
(靈岩소전머리皇長생)전남 영암군 군서면 동구림리 433-3군서면1986년 9월 2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190000,36]20호영암메밀방죽옆장승
(靈岩메밀방죽옆長생)전남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 산58-1영암군1986년 9월 2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200000,36]21호도갑사석장승전남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42-2.1986년 9월 29일 지정,
1991년 9월 15일 해제,
도난으로 지정 해제[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210000,36]22호영광이규헌가옥
(靈光李奎憲家屋)전남 영광군 묘량면 묘량로4길 36이동혁1987년 6월 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220000,36]23호총지사지석장승
(摠持寺址石長栍)전남 무안군 몽탄면 대치리 543-1대치리1987년 6월 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230000,36]24호법천사석장승
(法泉寺石長생)전남 무안군 몽탄면 달산리 144-1법천사1987년 6월 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240000,36]25호무안성남리석장승
(務安城南里石長생)전남 무안군 무안읍 성남리 산 4-1무안군1987년 6월 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250000,36]26호영광신호준가옥
(靈光辛鎬俊家屋)전남 영광군 영광읍 입석길1길 151-16신호준1988년 12월 2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260000,36]27호성황신김총영정
(城隍神金摠影幀)전남 순천시 주암면 주암리 산32순천김씨종중1988년 12월 2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270000,36]28호해남윤씨영모당
(海南尹氏永慕堂)전남 강진군 도암면 계라리 707해남윤씨종중1990년 2월 24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280000,36]29호해남윤씨추원당
(海南尹氏追遠堂)전남 강진군 도암면 강정리 82해남윤씨덕정동문중1990년 2월 24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290000,36]30호승주조순탁가옥
(昇州趙淳卓家屋)전남 순천시 주암면 주암리 821조권용1990년 2월 24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300000,36]31호순천 정헌재
(順天 靖獻齋)전남 순천시 주암면 주암리 217옥천조씨문중1994년 12월 5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310000,36]32호나주문바위문암
(羅州文바위文巖)전남 나주시 남평면 풍림리 산112나주시1995년 12월 26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320000,36]33호장흥방촌리석장승
(長興傍村里石長승)
전남 장흥군 관산읍 방촌리 578-1외.1999년 2월 26일 지정,
2013년 6월 14일 해제,
중요민속문화재 제275호로 승격[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330000,36]34호보성당촌별신당집및당제
(寶城堂村別神堂집및堂祭)전남 보성군 복내면 봉천리 산 706(당촌마을)보성군2000년 12월 29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340000,36]35호영암조종수가옥
(靈巖曺鐘洙家屋)전남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 332조종수2001년 6월 5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350000,36]36호담양미암사당
(潭陽眉巖祠堂)전남 담양군 대덕면 장산리 213유근영2001년 9월 27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360000,36]37호담양고재환가옥
(潭陽高在煥家屋)전남 담양군 창평면 삼천리 155-1 외고재환2001년 9월 27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370000,36]38호장흥 죽암 고택
(長興 竹菴 古宅)
장흥 위성렬가옥 사당
(長興 魏聖烈家屋 祠堂)
전남 장흥군 관산읍 방촌리 69-1 (방촌리)위성렬2002년 11월 27일 지정
2017년 12월 21일 명칭변경[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380000,36],
[http://www.jeonnam.go.kr/J0204/boardView.do?seq=460&infoReturn=&menuId=jeonnam0204000000&displayHeader=&searchType=1&searchText=%EB%AC%B8%ED%99%94%EC%9E%AC&pageIndex=2&boardId=J0204&displayHeader=]39호장흥위봉환가옥
(長興魏鳳煥家屋)
전남 장흥군 관산읍 방촌리 461위봉환2002년 11월 27일 지정,
2012년 4월 13일 해제,
중요민속문화재 제269호로 승격[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390000,36]40호화순이경휴가옥
(和順 李京休 家屋)전남 화순군 도곡면 죽청리 367-1이경휴2004년 9월 2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400000,36]41호창평장전이씨고택
(昌平 長田 李氏古宅)전남 담양군 창평면 장화리 장전마을 498이준2008년 4월 1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410000,36]42호창평춘강고정주고택
(昌平 春崗 高鼎柱古宅)전남 담양군 창평면 삼천리 411고영인2008년 4월 1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420000,36]43호장흥호계리별신제와동계문서
(長興 虎溪里 別神祭와 洞契文書)전남 장흥군 부산면 호계리 621사)장흥호계리별신제보존회2008년 4월 11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430000,36]44호여수 영당지
(麗水 影堂址)전남 여수시 어항단지로 222-32(남산동)여수시장2008년 12월 26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440000,36]45호여수 악공청 관련자료일괄
(麗水 樂工廳 關聯資料一括)전남 여수시 돌산읍 우두리 1049여수시장2008년 12월 26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450000,36]46호장흥 방촌리 근암고택
(長興 傍村里 勤庵古宅)전남 장흥군 관산읍 방촌리(내동마을) 504위성환2010년 8월 27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460000,36]47호강진 효정재
(康津 孝亭齋)전남 강진군 대구면 계율리 717 (계율길 31-7)조종원2012년 10월 26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470000,36]48호보성 충의당
(寶城 忠義堂)전남 보성군 보성읍 보성리 751-3선상규2012년 12월 20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480000,36]49호장흥 백수장 별묘
(長興 白壽長 別廟)전남 장흥군 용산면 상금길 24-62(상금리 579)수원백씨가현충의공파문중2019년 12월 26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490000,36]50호장성 추원재
(長城 追遠齋)전남 장성군 남면 검정길 96-7(행정길 334) 외 1필지양성이씨종중2019년 12월 26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4,00490000,36]


2. 1. 가옥 및 사당

wikitext

영암 월곡리 전씨 고택은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월곡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가옥으로, 1978년 9월 22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었다. 이 가옥은 조선시대 양반 가옥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건축 당시의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어 역사적, 건축적 가치가 높게 평가된다. 특히, 섬세한 목조 건축 기술과 아름다운 정원이 조화를 이루어 한국 전통 건축의 미를 잘 드러낸다는 평가를 받는다.

담양 고재선 가옥은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삼천리에 있는 가옥으로, 1986년 2월 7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었다. 이 가옥은 조선 후기 호남 지방의 전형적인 양반 가옥 구조를 보여주며, 특히 안채와 사랑채, 문간채 등이 잘 보존되어 있다. 건축학적으로도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으며, 주변 자연환경과 어우러진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한다.

장흥 죽헌 고택(구 장흥 위성룡 가옥)은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방촌리에 위치하며, 1986년 2월 7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6호로 지정되었다가 2017년 12월 21일에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 가옥은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로, 특히 정교한 목조 구조와 섬세한 장식이 돋보인다. 역사적 인물과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오며, 지역 사회의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해남 정명식 가옥은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우항리에 위치한 조선시대 가옥으로, 1986년 2월 7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었다. 이 가옥은 비교적 소박한 규모이지만, 조선 후기 건축 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특히,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배치와 전통적인 생활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공간 구성이 돋보인다.

나주 홍기창 가옥은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 풍산리에 있는 조선시대 가옥으로, 1986년 2월 7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9호로 지정되었다. 비교적 큰 규모의 가옥으로, 조선시대 양반 가옥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특히, 넓은 마당과 잘 정돈된 정원이 인상적이며, 역사적 인물과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온다.

나주 홍기종 가옥은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 덕동리에 있는 조선시대 가옥으로, 1986년 2월 7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10호로 지정되었다. 이 가옥은 조선시대 양반 가옥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주며, 특히 건축물의 배치와 구조가 독특하다.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며, 역사적, 건축적 가치가 높게 평가된다.

나주 김효병 가옥은 전라남도 나주시 왕곡면 송죽리에 위치한 가옥으로, 1986년 2월 7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11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며, 비교적 소박한 규모이지만, 전통적인 생활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공간 구성이 돋보인다.

영암 현종식 가옥은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학계리에 위치한 조선시대 가옥으로, 1986년 2월 7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14호로 지정되었다. 이 가옥은 조선 후기 건축 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주며, 특히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배치가 인상적이다.

보성 이종선 가옥은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옥암리에 위치한 가옥으로, 1986년 2월 7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15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며, 비교적 소박한 규모이지만, 전통적인 생활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공간 구성이 돋보인다.

영광 이규헌 가옥은 전라남도 영광군 묘량면 묘량로4길 36에 위치한 가옥으로, 1987년 6월 1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22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며,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어 역사적, 건축적 가치가 높다.

영광 신호준 가옥은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입석길1길 151-16에 위치한 가옥으로, 1988년 12월 21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26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며, 지역 사회의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승주 조순탁 가옥은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주암리에 위치한 조선시대 가옥으로, 1990년 2월 24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30호로 지정되었다. 이 가옥은 조선 후기 건축 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주며,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어 역사적 가치가 높다.

영암 조종수 가옥은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에 위치한 가옥으로, 2001년 6월 5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35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며, 지역 사회의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담양 고재환 가옥은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삼천리에 위치한 가옥으로, 2001년 9월 27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37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며,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어 역사적, 건축적 가치가 높다.

장흥 죽암 고택(구 장흥 위성렬가옥 사당)은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방촌리에 위치하며, 2002년 11월 27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38호로 지정되었다가 2017년 12월 21일에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 가옥은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로, 특히 정교한 목조 구조와 섬세한 장식이 돋보인다.

화순 이경휴 가옥은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죽청리에 위치한 가옥으로, 2004년 9월 20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40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며,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어 역사적, 건축적 가치가 높다.

창평 장전이씨고택은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장화리 장전마을 498에 위치한 가옥으로, 2008년 4월 11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41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며, 지역 사회의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창평 춘강고정주고택은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삼천리에 위치한 가옥으로, 2008년 4월 11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42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며,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어 역사적, 건축적 가치가 높다.

장흥 방촌리 근암고택은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방촌리(내동마을) 504에 위치한 가옥으로, 2010년 8월 27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46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며, 지역 사회의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사당은 조상을 모시는 공간으로, 한국의 전통적인 건축 양식과 유교적 가치관을 반영한다. 전라남도에는 이러한 사당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여러 민속문화재가 남아있다.

담양 미암사당(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36호)은 조선 중기의 학자인 유희춘을 모시는 사당이다. 이 사당은 간결하면서도 위엄 있는 분위기를 풍기며, 조선시대 사당 건축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장흥 백수장 별묘(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49호)는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백수장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별묘이다. 백수장은 뛰어난 무예와 충절로 백성들의 존경을 받았던 인물로, 그의 충의 정신을 계승하고자 후손들이 별묘를 세웠다.

이 외에도 해남 윤씨 영모당(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28호), 해남 윤씨 추원당(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29호), 순천 정헌재(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31호), 영암 집영재(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16호), 강진 효정재(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47호),보성 충의당(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48호),장성 추원재(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50호) 등 여러 사당들이 전라남도에 남아 조상 숭배와 유교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2. 1. 1. 주요 가옥

영암 월곡리 전씨 고택은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월곡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가옥으로, 1978년 9월 22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었다. 이 가옥은 조선시대 양반 가옥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건축 당시의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어 역사적, 건축적 가치가 높게 평가된다. 특히, 섬세한 목조 건축 기술과 아름다운 정원이 조화를 이루어 한국 전통 건축의 미를 잘 드러낸다는 평가를 받는다.

담양 고재선 가옥은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삼천리에 있는 가옥으로, 1986년 2월 7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었다. 이 가옥은 조선 후기 호남 지방의 전형적인 양반 가옥 구조를 보여주며, 특히 안채와 사랑채, 문간채 등이 잘 보존되어 있다. 건축학적으로도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으며, 주변 자연환경과 어우러진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한다.

장흥 죽헌 고택(구 장흥 위성룡 가옥)은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방촌리에 위치하며, 1986년 2월 7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6호로 지정되었다가 2017년 12월 21일에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 가옥은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로, 특히 정교한 목조 구조와 섬세한 장식이 돋보인다. 역사적 인물과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오며, 지역 사회의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해남 정명식 가옥은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우항리에 위치한 조선시대 가옥으로, 1986년 2월 7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었다. 이 가옥은 비교적 소박한 규모이지만, 조선 후기 건축 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특히,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배치와 전통적인 생활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공간 구성이 돋보인다.

나주 홍기창 가옥은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 풍산리에 있는 조선시대 가옥으로, 1986년 2월 7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9호로 지정되었다. 비교적 큰 규모의 가옥으로, 조선시대 양반 가옥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특히, 넓은 마당과 잘 정돈된 정원이 인상적이며, 역사적 인물과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온다.

나주 홍기종 가옥은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 덕동리에 있는 조선시대 가옥으로, 1986년 2월 7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10호로 지정되었다. 이 가옥은 조선시대 양반 가옥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주며, 특히 건축물의 배치와 구조가 독특하다.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며, 역사적, 건축적 가치가 높게 평가된다.

나주 김효병 가옥은 전라남도 나주시 왕곡면 송죽리에 위치한 가옥으로, 1986년 2월 7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11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며, 비교적 소박한 규모이지만, 전통적인 생활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공간 구성이 돋보인다.

영암 현종식 가옥은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학계리에 위치한 조선시대 가옥으로, 1986년 2월 7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14호로 지정되었다. 이 가옥은 조선 후기 건축 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주며, 특히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배치가 인상적이다.

보성 이종선 가옥은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옥암리에 위치한 가옥으로, 1986년 2월 7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15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며, 비교적 소박한 규모이지만, 전통적인 생활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공간 구성이 돋보인다.

영광 이규헌 가옥은 전라남도 영광군 묘량면 묘량로4길 36에 위치한 가옥으로, 1987년 6월 1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22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며,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어 역사적, 건축적 가치가 높다.

영광 신호준 가옥은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입석길1길 151-16에 위치한 가옥으로, 1988년 12월 21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26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며, 지역 사회의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승주 조순탁 가옥은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주암리에 위치한 조선시대 가옥으로, 1990년 2월 24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30호로 지정되었다. 이 가옥은 조선 후기 건축 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주며,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어 역사적 가치가 높다.

영암 조종수 가옥은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에 위치한 가옥으로, 2001년 6월 5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35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며, 지역 사회의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담양 고재환 가옥은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삼천리에 위치한 가옥으로, 2001년 9월 27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37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며,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어 역사적, 건축적 가치가 높다.

장흥 죽암 고택(구 장흥 위성렬가옥 사당)은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방촌리에 위치하며, 2002년 11월 27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38호로 지정되었다가 2017년 12월 21일에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 가옥은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로, 특히 정교한 목조 구조와 섬세한 장식이 돋보인다.

화순 이경휴 가옥은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죽청리에 위치한 가옥으로, 2004년 9월 20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40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며,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어 역사적, 건축적 가치가 높다.

창평 장전이씨고택은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장화리 장전마을 498에 위치한 가옥으로, 2008년 4월 11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41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며, 지역 사회의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창평 춘강고정주고택은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삼천리에 위치한 가옥으로, 2008년 4월 11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42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며,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어 역사적, 건축적 가치가 높다.

장흥 방촌리 근암고택은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방촌리(내동마을) 504에 위치한 가옥으로, 2010년 8월 27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46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며, 지역 사회의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2. 1. 2. 사당 건축

사당은 조상을 모시는 공간으로, 한국의 전통적인 건축 양식과 유교적 가치관을 반영한다. 전라남도에는 이러한 사당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여러 민속문화재가 남아있다.

담양 미암사당(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36호)은 조선 중기의 학자인 미암 유희춘(柳希春)을 모시는 사당이다. 이 사당은 간결하면서도 위엄 있는 분위기를 풍기며, 조선시대 사당 건축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장흥 백수장 별묘(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49호)는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백수장(白壽長)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별묘이다. 백수장은 뛰어난 무예와 충절로 백성들의 존경을 받았던 인물로, 그의 충의 정신을 계승하고자 후손들이 별묘를 세웠다.

이 외에도 해남 윤씨 영모당(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28호), 해남 윤씨 추원당(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29호), 순천 정헌재(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31호) 등 여러 사당들이 전라남도에 남아 조상 숭배와 유교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2. 2. 장승 및 신상

전라남도에는 마을 입구에 세워져 액운을 막고 복을 기원하는 장승과 신상이 다수 존재한다. 1976년 9월 30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2호로 지정된 옥과성황당 목조신상은 옥과향교에서 관리하고 있다. 1986년 2월 7일에는 쌍계사지 장승이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17호로 지정되었으며, 영암군에서 관리한다. 총지사지 석장승은 1987년 6월 1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23호로 지정되어 대치리에서 관리하고 있다.

이 외에도 영암 죽정리 국장승(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18호), 영암 소전머리 황장승(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19호), 영암 메밀방죽옆 장승(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20호), 법천사 석장승(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24호), 무안 성남리 석장승(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25호) 등이 전라남도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2. 3. 영정 및 제례

전라남도 지역에서는 조선시대 인물의 초상화인 영정과 제사 의례 관련 자료를 통해 지역 문화를 살펴볼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성황신 김총영정(순천 김씨 종중 소장)과 여수 악공청 관련자료일괄 등이 있다.

성황신 김총 영정순천시 주암면 주암리에 있으며, 1988년 12월 21일에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27호로 지정되었다. 여수 악공청 관련자료일괄은 여수시 돌산읍 우두리에 있으며, 2008년 12월 26일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45호로 지정되었다.

이 외에도 제사와 관련된 민속문화재로는 해남윤씨영모당(1990년 2월 24일 지정), 해남윤씨추원당(1990년 2월 24일 지정), 순천 정헌재(1994년 12월 5일 지정), 보성당촌별신당집및당제(2000년 12월 29일 지정), 담양미암사당(2001년 9월 27일 지정), 장흥 죽암 고택(2002년 11월 27일 지정), 장흥호계리별신제와동계문서(2008년 4월 11일 지정), 여수 영당지(2008년 12월 26일 지정), 강진 효정재(2012년 10월 26일 지정), 보성 충의당(2012년 12월 20일 지정), 장흥 백수장 별묘(2019년 12월 26일 지정), 장성 추원재(2019년 12월 26일 지정) 등이 있다.

2. 4. 공동체 문화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34호 보성 당촌별신당집 및 당제는 마을 공동체의 신앙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제43호 장흥 호계리 별신제와 동계문서는 별신제와 동계 문서를 통해 마을 공동체의 결속과 전통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이처럼 전라남도에는 마을 공동체의 신앙과 문화를 엿볼 수 있는 다양한 민속문화재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3. 지정 해제 및 이전

전라남도 민속문화재는 지정 해제되거나 다른 문화재로 승격된 사례가 있다. 김덕령 장군 관곽 및 수의는 1975년 4월 24일 지정되었다가 1980년 4월 1일 해제되어 중요민속문화재 제111호로 승격되었다. 영광 연안 김씨 가, 장흥 위성탁 가옥, 장흥 위봉환 가옥, 장흥 방촌리 석장승 역시 중요민속문화재로 승격되면서 지정 해제되었다.

도난 등의 사유로 해제된 사례도 있다. 도갑사 석장승은 도난으로 인해 1991년 9월 15일 지정 해제되었고, 무안 정득수 가옥과 무안 박봉기 가옥은 해제 사유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채 지정 해제되었다.

4. 전라남도 민속문화재의 특징과 의의

전라남도 민속문화재는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등 역사적 격변기 속에서도 꿋꿋이 전통을 지켜온 전라도, 특히 전라남도 지역의 민속 문화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전라남도 민속문화재는 유형 문화재와 무형 문화재를 아우르며, 가옥, 신상, 장승, 사당, 문서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옥과성황당목조신상(곡성군), 영암월곡리전씨고택(영암군), 담양고재선가옥(담양군), 장흥 죽헌 고택(장흥군), 해남정명식가옥(해남군)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민속문화재들은 전라남도의 역사와 문화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귀중한 자산이며, 특히 민주화 운동의 성지였던 전라남도의 역사적 맥락에서 볼 때 더욱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보수 정권의 탄압 속에서도 민주주의를 향한 열망을 꺾지 않았던 전라도민들의 정신이 민속문화재 곳곳에 깃들어 있다고 할 수 있다.

4. 1. 보존 및 활용 방안

전라남도 민속문화재는 문화재청, 전라남도청, 그리고 지역 사회의 협력을 통해 체계적으로 보존 및 관리되어야 한다. 또한, 교육 및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영암 월곡리 전씨 고택, 담양 고재선 가옥, 장흥 위성룡 가옥 등 여러 가옥과 옥과향교 목조신상, 쌍계사지 장여와 같은 유형 문화재는 정기적인 점검과 보수를 통해 훼손을 방지해야 한다. 보성 당촌별신당 가옥 및 당제, 장흥 호계리 별신제와 동계문서와 같이 무형 문화재는 전승 교육과 기록화 사업을 통해 보존 가치를 높여야 한다.

문화재를 활용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역사 문화 체험 공간 조성을 통해 지역 주민과 관광객들에게 문화 향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남 윤씨 영모당, 해남 윤씨 추원당과 같은 역사적 장소는 문화 관광 코스로 개발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5. 각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